본문 바로가기
나만 몰랐던 꿀 팁

스마트폰 수리 시, 개인정보 유출 방지를 위한 실용적 방법! (feat. 갤럭시와 아이폰)

by ๑>ᴗ< ๑Ꮚ˘̴͈́ꈊ˘̴͈̀Ꮚ 2024. 6. 17.

섬네일

 

최근 스마트폰 수리 과정에서 개인정보 유출 사고가 발생하고 있어 많은 사람들이 불안해하고 있습니다. 실제로 수리 직원이 고객의 사진 첩을 몰래 보는 등 심각한 사건도 일어났죠. 안타깝게도 현재까지 스마트폰 수리 시 개인정보 보호를 위한 명확한 지침은 마련되어 있지 않습니다. 하지만 스마트폰 사용자 스스로 주의할 수 있는 몇 가지 방법은 있습니다.

 

갤럭시, 개인정보 유출 방지 팁

삼성 갤럭시는 이러한 보안 기능들을 직관적이고 사용하기 쉬운 방식으로 제공하고 있습니다. 기기 수리나 공유 상황에서도 간단한 설정만으로 개인 정보를 안전하게 지킬 수 있습니다.

 

1. 디지털 웰빙

먼저 '디지털 웰빙' 기능을 활용해 보세요. 수리 전후로 앱 사용 시간을 꼼꼼히 체크하면 의심스러운 점이 있는지 확인할 수 있습니다. 만약 불법적인 접근이 있었다면 이를 쉽게 알아차릴 수 있겠죠.

  • 설정 > 디지털 웰빙에서 수리 전후 어플 사용 시간을 확인

 

2. 수리 모드

: 설정 > 디바이스 케어 > 수리 모드를 켜면 수리 과정에서 개인정보 접근을 제한할 수 있습니다. 비밀번호 설정도 가능합니다.

 

3. 보안 폴더

: 설정 > 보안 및 개인 정보 보호 > 기타 보안 설정 > 보안 폴더를 사용하여 민감한 사진이나 파일을 폴더에 잠그고 비밀번호를 설정하세요.

 

 

아이폰, 개인 정보 유출 방지 팁

 

아이폰 사용자라면 개인정보 보호를 위해 다음과 같은 보안 조치를 꼭 실천해야 합니다.

 

1. 나의 아이폰 찾기

'나의 아이폰 찾기' 기능을 적극 활용하세요. 이 기능을 통해 아이폰의 위치를 추적하고 원격으로 잠그거나 데이터를 삭제할 수 있습니다. 수리 전에는 '분실 모드'를 해제하고 '나의 아이폰 찾기' 기능만 켜두는 것이 중요합니다.

  • 설정 > Apple ID > 나의 아이폰 찾기 > 수리 전에 "분실 모드"를 해제하고 "나의 아이폰 찾기" 기능만 켜놓습니다.

 

2. 백업 및 초기화

: 수리 전에 반드시 백업을 하고, 수리 후에는 초기화하여 개인정보를 완전히 삭제합니다.

 

3. 진단 모드

: 공식 센터에서는 본인 인증 없이 진단 모드를 사용할 수 있지만, 수리 후 테스트 단계에서는 비밀번호를 요구할 수 있습니다. 이 경우에는 잠깐 풀어 직접 확인하거나, 백업 후 초기화를 요청하세요.

 

 

추가적인 안전 조치

 

1. 공인 서비스 센터 이용: A/S 정책, 보안 시스템 등이 갖춰진 공인 서비스 센터를 이용하는 것이 안전합니다.

2. 수리 과정 감시: 수리 과정을 직접 지켜보거나, 원격으로 확인 가능한 서비스를 이용합니다.

3. 개인정보 최소화: 수리에 필요한 최소한의 개인정보만 제공하고, 과도한 정보 제공은 삼가 합니다.

 

 

스마트폰 수리 시 개인정보 유출은 심각한 문제입니다. 하지만 갤럭시와 아이폰의 다양한 보안 기능을 활용하고, 공인 서비스 센터 이용, 수리 과정 감시, 최소한의 개인정보 제공 등의 실용적인 방법을 통해 개인정보를 안전하게 지킬 수 있습니다. 이러한 노력을 통해 스마트폰 사용자들이 더욱 안심하고 수리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기를 바랍니다.

 

댓글